Cloudflare에서 성능저하가 심하게 발생한다! ( AWS EC2 + ACM + CloudFront + Route53 + WAF 로 전환하기 )
·
React
TLDR또 한 번 AWS를 활용하여 웹서버 배포하는 방법입니다. 이전에는 CloudFront를 활용하여 https 웹 서버를 배포하였지만, 여기에 중요한 이슈가 발생했습니다.Cloudflare의 속도 저하위 사진처럼 api response를 받는데 평균적으로 350ms정도 소요되었고, 이게 웹뷰 앱으로 구성된 저희 앱으로 가게 되면 비교적 네트워크 속도가 느린 모바일에서 로딩이 좀 더 길어지게 되었습니다. 유저가 이탈할 거라고 우려될 수준으로 치명적인 속도였고, 개선을 위해 코드/DB 등의 개선을 진행했으나, 저 속도저하의 본질은 Cloudflare라는 것을 뒤늦게 알게 되었습니다.Cloudflare는 CDN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전세계 각국에서 접근했을 때, 가장 가까운 edge server에서 캐시 ..
[AWS] Sub Domain 연결하기
·
React
TLDR이번 포스팅에서는 Sub Domain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합니다. 이전 게시글 중 [React + Vite + Nginx + Docker + AWS] 를 활용하여 배포 해봅시다! 을 통해 AWS EC2에 react 빌드 파일을 nginx와 docker를 설정해놓은 상태에서, Route53/ Cloudflare을 활용하여 https 연결과 배포를 진행한 상태입니다.도메인 연결 및 배포 설정과 관련된 Route53 및 Cloudflare를 활용했던 방법에 관한 정보는 추후에, 포스팅하여 연결될 수 있게 수정될 예정입니다. 아직 Cloudflare가 free 버전이고 어디까지 활용될 것 인지, 지식도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https를 어떻게 배포할 것이고 장단점에 관련된 내용까지 담아 소개해 드리..
[React + Vite + Nginx + Docker + AWS] 를 활용하여 배포 해봅시다!
·
React
개요웹 프론트엔드 개발자 설탕시럽입니다.개발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지고, 이래저래 수정사항이 많았지만 결국 QA 기간까지 왔습니다. QA 진행을 위해서는, 이제 로컬환경이 아닌 배포된 환경이 필요했고 AWS를 활용하여 배포하기로 했습니다. 어쩌다 보니 제가 aws를 활용하여 React 배포를 맡았지만, vercel, firebase hosting과 같이 쉽게 배포를 도와주는 툴이 아닌 aws를 통한 배포는 처음이었습니다. 처음 하는 김에 Docker를 활용해보고 싶은 호기심도 있어서, 우당탕탕 React + Vite + Nginx + Docker + AWS 환경에서 배포하는 과정에 대해 공유하려고 합니다 DockerDocker란 무엇일까요? aws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습니다Docker는 애플리케이..